본문 바로가기
환경관련/자연환경기술사

국내습지 현황

by bioeco94 2025. 1. 2.
반응형

1. 국내 습지 현황

202212월까지 확인된 국내에 분포하는 습지의 총면적은 3,635.6(내륙습지 1,153.6, 연안습지 2,482.0), 국토 면적의 약 3.6%에 해당.

습지보호지역 및 람사르습지 현황

- 습지보호지역은 총 51개소 1,634.623

- 소관별로는 환경부 지정 30개소(135.249), 해양수산부 지정 14개소, (1,491.12), 도지사 7개소(8.254) 지정관리 중

- 람사르습지는 총 24개소(202.672)이며, 이 중 19개소가 습지보호지역과

중복으로 지정관리

2. 습지의 생물다양성 현황

내륙습지 조사('16~'20) 결과, 우리나라 내륙습지 1,061곳에서 6,786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267종 중 116(42%)이 습지에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

- 멸종위기 : 수달, 황새, 호사비오리, 비바리뱀, 수원청개구리, 귀이빨대칭이, 모래주사 등 24

- 멸종위기 : 가시연, 기생꽃, 순채, 금개구리, 표범장지뱀, 남생이, 맹꽁이, 묵납자루 등 92

국내 습지보전관리 여건

- 기후변화 및 도시화산업화 등 인간의 인위적 행위 증가에 따른 서식지 훼손과 서식환경 악화로 생물다양성 감소

- 특히,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습지의 훼손이 가속화* 되고 있고, 이에 따라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가치 손실 초래

* 4차 전국내륙습지 모니터링('16~'20) 결과, 2,499(734.6, '17년 습지인벤토리 기준) 습지 중에서 176개 습지(4.81)가 매립, 경작, 개발 등으로 소실된 것으로 확인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2030 NDC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자연 기반 탄소흡수 강화 계획 반영('21.10)

'18년 총 탄소배출량 72760만톤(CO2eq) 대비 '30년까지 40% 감축목표(26.7백만톤 흡수

포함) 설정 및 산림하천갯벌 등 주요 흡수원 명시

- 탄소흡수원인 습지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훼손된 습지의 복원을 통한 생물다양성과 탄소흡수능력 증진 필요

갯벌은 잘피, 염생식물 등과 함께 블루카본(Blue Carbon)으로 부각, 연간 자동차 20만대 배출하는 최대 49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 향후 국제인증 확보 필요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환경보호, 삶의 질 제고 등을 중시하는 국민수요 증대

- 생태관광 등에 대한 생태계서비스의 질적 수준 제고 요구 증가

 

* 자료:  제 4차 습지보전기본계획 (2023-2027) 환경부, 해양수산부

 

QED. By Hun

반응형

'환경관련 > 자연환경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4차 습지보전 기본계획 (1 편)  (0) 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