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관련7

국내습지 현황 1. 국내 습지 현황 2022년 12월까지 확인된 국내에 분포하는 습지의 총면적은 3,635.6㎢ (내륙습지 1,153.6㎢, 연안습지 2,482.0㎢)로, 국토 면적의 약 3.6%에 해당. 습지보호지역 및 람사르습지 현황- 습지보호지역은 총 51개소 1,634.623㎢임- 소관별로는 환경부 지정 30개소(135.249㎢), 해양수산부 지정 14개소, (1,491.12㎢), 시・도지사 7개소(8.254㎢) 지정・관리 중- 람사르습지는 총 24개소(202.672㎢)이며, 이 중 19개소가 습지보호지역과중복으로 지정・관리2. 습지의 생물다양성 현황 내륙습지 조사('16~'20) 결과, 우리나라 내륙습지 1,061곳에서 6,786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267.. 2025. 1. 2.
제 4차 습지보전 기본계획 (1 편) 1. 계획의 기본계획 (2023-2027) 계획의 법적 성격 습지보전법 제 5조에 근거하여 환경부 장관이 해양수산부 장관과 협의하여 수립하는 습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본계획 2. 주요내용⚪ 습지 보전에 관한 시책 방향⚪ 습지 조사에 관한 사항⚪ 습지 분포, 면적, 생물다양성 현황에 관한 사항⚪ 습지와 관련된 다른 국가 기본계획과의 조정에 관한 사항⚪ 습지 보전・관리・현명한 이용에 관한 사항⚪ 습지 보전을 위한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그 밖에 습지 보전에 필요한 사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3. 계획의 체계와 위상- 습지의 효율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국가 기본계획 습지의 보전 및 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정책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습지 및 습지의 생물다양성 보전의 기본 방향 제시 지방자치단체.. 2024. 12. 24.
제2차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세부 이행계획) 󰊱 부분별 감축계획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8대 부분 대책 추진 (8대 부문 감축)1) 전환 부문 - 친환경 에너지믹스로의 전환 ⓵ 석탄발전의 과감한 감축으로 친환경 전원믹스 강화 ㅇ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은 금지하고, 석탄발전소의 과감한 추가 감축 및 LNGLNG 등 친환경 연료로 전환 ⓶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 ㅇ 깨끗하고 안전한 미래 에너지 전환을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20%, 2040년까지 30~35%로 확대 ㅇ 재생에너지 출력 변동성 대응을 위해 신재생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 및 유연성 설비 확충 등 추진⓷ 미활용 열에너지 이용 확대 ㅇ 미활용 열 잠재량, 열 수요정보를 종합한 국가 열지도 구축을 완료하고 열활용 플랫폼으로 이용 ⓸ 에너지 수요관리 강화로 선진국 .. 2024. 8. 2.
제 2차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 (2020-2040) Ⅰ. 개요 및 의의1. 개요1) 법적근거: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0조)2) 계획기간: 2020-2040(20년), 5년마다 연동계획 수립·시행3) 수립절차: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 녹색성장위원회 및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 2. 의의 1)  기후변화 대응의 최상위 계획으로 기후변화 정책의 목표와 비전 설정   - 거시적 관점에서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기후변화 적응 등 하위 계획의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고 에너지 관련 계획과 정합성 제고.  - 파리 협정에 따른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갱신(5년) 일정에 맞게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이행 대책 제시 출처: 환경부 보도자료(2019.10.22) 제2차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 중 .. # 세부 이행 계획은 다음편으로.... 2024. 8. 1.
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 위원회 1. 설립목적탄소중립은 국가비전이자 글로벌 신(新) 패러다임으로,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충실히 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산업·경제·사회 등 모든 영역에서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을 도모하기 위한 추진체계가 필요함.  2. 설치근거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22.3.25.)탄소중립기본법 제15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설치 3. 설치목적정부의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녹색성장의 추진을 위한 주요 정책 및 계획과 그 시행에 관한 사항 심의·의결 4. 주요 기능-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녹색성장의 추진을 위한 기본방향 수립- 국가비전 및 중장기 감축목표, 국가기본계획 등의 설정 및 이행현황 점검-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의 수립·변경 및 점검- 탄소중립 관련 국민 이해 증.. 2024. 7. 31.
미세먼지란? 미세먼지란?     미세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인 먼지 중 다음의 흡입성 먼지를 말함. 미세먼지 : 입자의 지름이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먼지(PM-10)초미세먼지 : 입자의 지름이 2.5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먼지(PM-2.5) 2. 미세먼지 배출원 - 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생성물질은 대기오염물질을 대기에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과 자동차, 선박, 건설기계 등에 의해 배출됨.  3. 미세먼지와 황사의 차이- 미세먼지는 아주 작은 크기의 모든 오염 물질을 말하며, 그중 중국이나 몽골의 사막지역에서 발생한 흙먼지를 황사라고 합니다. 봄에 주로 나타나는 황사는 주요 성분이 칼슘이나 규소 등 토양성분이며,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 입자의 크기는 약 5~8㎛입.. 2024. 7.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