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관련/자연환경기술사

제 4차 습지보전 기본계획 (1 편)

by bioeco94 2024. 12. 24.
반응형

1. 계획의 기본계획 (2023-2027)

계획의 법적 성격

습지보전법 제 5조에 근거하여 환경부 장관이 해양수산부 장관과 협의하여 수립하는 습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본계획

 

2. 주요내용

습지 보전에 관한 시책 방향

습지 조사에 관한 사항

습지 분포, 면적, 생물다양성 현황에 관한 사항

습지와 관련된 다른 국가 기본계획과의 조정에 관한 사항

습지 보전관리현명한 이용에 관한 사항

습지 보전을 위한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그 밖에 습지 보전에 필요한 사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3. 계획의 체계와 위상

- 습지의 효율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국가 기본계획

습지의 보전 및 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정책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습지 및

습지의 생물다양성 보전의 기본 방향 제시

지방자치단체의 습지보전실천계획수립 지침 제시

- 상위계획의 습지보전 정책에 대한 실천계획

국가환경종합계획’, ‘자연환경보전 기본계획과 연계된 중기 계획

3차 자연환경보전 기본계획('16~'25)’의 이행과제 중 습지 보전대책을 구체화

국가생물다양성전략’, ‘국가물관리기본계획’, ‘해양환경종합계획’, ‘갯벌 등의 관리 및 복원에 관한 기본계획등과 유관 계획

 

습지보전기본계획의 체계

  • 습지 보전정책의 추진 방향

습지 보전정책의 비전및 목표

                         2.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3. 성과 지표 및 목적 

성과 지표 및 목적

 

* 자료: 제4차 습지보전기본계획 2022. 환경부, 해양수산부

* 다음편에 계속~~


* QED by Hun

반응형

'환경관련 > 자연환경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습지 현황  (2) 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