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 생태학 관련7 정향풀(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들어가며 정향풀은 협죽도과 여러해살이풀로 2017년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신규 지정된 식물이다. 유래: 꽃이 핀 모습이 정(丁)자와 비슷해서 정자초(丁字草)라고 하던 것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서식지는 인천광역시의 대청도, 백령도, 고흥의 거금도, 속초, 완도의 조약도 등에 분포하하고 있으며 개발로 인한 소실, 관상용과 약용을 목적으로 한 채취도 이루어지고 있어 위협에 처해있다(김소담 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권 2 호 31pages). 분류체계-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아강 >> 용담목 >> 협죽도과 >> 정향풀속- MAGNOLIOPHYTA >> MAGNOLIOPSIDA >> ASTERIDAE >> GENTIANALES >> APOCY.. 2024. 10. 29. 기생꽃에 대하여 학명: Trientalis europaea L. subsp. arctica (Fisch. ex Hook.) Hulten분류학적 위치- 피자식물문(Magnoliophyta) 목련강(Magnoliopsida) 앵초목(Primulales) 앵초과(Primulaceae) 기생꽃속(Trientalis) 참기생꽃(europaea) (arctica) 보호관리 현황-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취약(VU) 들어가며기생꽃속(Trientalis)은 전 세계적으로 3종밖에 존재하지 않는 아주 작은 분류군이다. 기생꽃속의 학명인 트리엔탈리스(Trientalis)는 라틴어로 1/3피트(feet) 즉 약 10cm를 뜻한다. 크기가 작은 기생꽃속 식물의 특징을 잘 나타낸 이름이다. 꽃 모양이 기생의 머리 .. 2024. 9. 24. 단양쑥부쟁이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아강 >> 국화목 >> 국화과 >> 참취속(쑥부쟁이속)- MAGNOLIOPHYTA >> MAGNOLIOPSIDA >> ASTERIDAE >> ASTERALES >> ASTERACEAE >> Aster - 학명: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Kitam. 국명: 단양쑥부쟁이-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위기(EN) 경기도 여주에서 만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Ⅱ급 식물 단양쑥부쟁이입니다. 단양쑥부쟁이는 강이나 냇가 근처의 모래땅에 나는 두해살 풀이며 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가지는 사방으로 넓게 퍼진다. 줄기 중부의 경생엽은 길이 3.5~5.5cm, 폭 1~3mm인 선형으로 엽병이 없으며.. 2024. 9. 23. 구름병아리난초 학명: Gymnadenia cucullata (L.) Rich.국명: 구름병아리난초, 이명: 구름병아리난, 산나사난초들어가며강원도 삼척시와 태백시 경계쯤에서 만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에 속하는 구름병아리난초입니다. 분류체계-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백합아강 >> 난초목 >> 난초과 >> 손바닥난초속>>구름병아리난초- MAGNOLIOPHYTA >> LILIOPSIDA >> LILIIDAE >> ASPARAGALES >> ORCHIDACEAE >> Gymnadenia 개요높은 산 주로 침엽수림 속에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난초식물이다. 둥근 덩이뿌리 2개와 노끈 모양의 뿌리가 몇 개 있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25cm이고 가늘다. 포는 3~4개, 피침형이며 길이 5~20mm, 폭 .. 2024. 9. 15. 투구꽃 (오대산 소금강 계곡) 들어가며분류학적 위치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Magnoliidae (목련아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Aconitum (초오속) > jaluense (투구꽃)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국명: 투구꽃주요내용오대산 소금강 계곡에서 만났으며 보라색의 꽃이 탐스럽게 피어 있다.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높이 8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진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9월에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 보라색이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2장, 위.. 2024. 9. 13. 뻐꾹나리(백합과) 1. 개 요◯ 분류체계-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백합아강 >> 백합목 >> 백합과 >> 뻐꾹나리속- MAGNOLIOPHYTA >> LILIOPSIDA >> LILIIDAE >> LILIALES >> LILIACEAE >> Tricyrtis ◯ 보호관리 현황 (이력)-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관심대상(LC) ◯ 분류학적 특징여러해살이풀로 땅속줄기는 곧고 길게 자라며,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0㎝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5-51㎝, 폭 2-7㎝,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줄기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산방화서로 달리며, 흰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열매는 삭과이며, 피침형이다.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에 분.. 2024. 9. 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