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Gymnadenia cucullata (L.) Rich.
국명: 구름병아리난초, 이명: 구름병아리난, 산나사난초

- 들어가며
강원도 삼척시와 태백시 경계쯤에서 만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에 속하는 구름병아리난초입니다.
- 분류체계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백합아강 >> 난초목 >> 난초과 >> 손바닥난초속>>구름병아리난초
- MAGNOLIOPHYTA >> LILIOPSIDA >> LILIIDAE >> ASPARAGALES >> ORCHIDACEAE >> Gymnadenia

- 개요
높은 산 주로 침엽수림 속에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난초식물이다. 둥근 덩이뿌리 2개와 노끈 모양의 뿌리가 몇 개 있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25cm이고 가늘다. 포는 3~4개, 피침형이며 길이 5~20mm, 폭 1~2mm이다. 잎은 줄기 아래쪽에 보통 2장이 서로 가까이 어긋나며, 위쪽에는 피침형의 작은 잎이 3~4장 어긋난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줄기 끝의 이삭꽃차례의 한쪽으로 조금 치우쳐 달리며,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이다. 열매는 삭과, 타원형이며 길이 5~8mm이다. 우리나라에는 지리산과 중부 이북에 나고,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구름병아리난, 산나사난초라고도 한다.

해외분포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국내분포
지리산, 중부 이북
생태
여러해살이풀로 고산의 풀밭이나 침염수림 밑에서 산다. 7~9월경에 개화하여 8~9월경에 열매가 익는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주로 침엽수의 숲속에서 및 고산의 풀밭에 서식한다.
관상을 목적으로 한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위협이 상존하고 있다. 자생지 일부는 국립공원 내에 위치해 있지만 탐방객에 의한 자생지 훼손 위협에도 처해 있다.
* 자료: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https://species.nibr.go.kr)
* 서식지는 별도로 표기 하지 않습니다.
'식물 & 생태학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생꽃에 대하여 (6) | 2024.09.24 |
---|---|
단양쑥부쟁이 (0) | 2024.09.23 |
투구꽃 (오대산 소금강 계곡) (0) | 2024.09.13 |
뻐꾹나리(백합과) (0) | 2024.09.06 |
가시박(생태계교란생물) (0) | 2024.09.02 |